질병 건강정보

유방암 원인 치료법 부분절제술, 폐경기 여성 식단과 운동법

건강통통 2021. 4. 13. 10:35
반응형

KBS 생로병사 771회

 

유방암에 관한 보고서

미의 여신 비너스는 모성과 여성성을 상징하는 말로 폭넓게 사용됩니다.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밀로의 비너스 조각상을 보면 그 이름의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조각상은 아름답고 완벽한 균형을 가진 몸매로 인해 미의 전형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비너스의 가슴은 여성 몸매의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합니다. 그런데 이런 여성 몸매의 아름다움과 균형을 상징하는 가슴을 위협하고 있는 질병이 있습니다.

 

한국 유방암, 세계 증가율 1위

1983년 통계를 작성한 이래 한국인 사망원인 1위는 꾸준히 암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한국 유방암의 증가율은 세계 1위입니다. 

 


유방은 여성의 수유 기관으로 소엽과 유관, 피하지방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유방암은 소엽과 유관에서 발생하는 암입니다. 유방암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술적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이때 유방의 제거가 불가피합니다. 유방암은 0기라도 수술로 재발의 위험을 차단합니다. 다른 종류의 암에 비해 유방암은 수술 부위가 겉으로 드러나 있어서 치료 후의 삶에도 부담이 큽니다. 

 

세밀한 유방조직 만큼이나 접근도 세밀하게!

여성성의 상징인 유방에 암세포가 있는 것을 유방암이라 부릅니다. 유방암은 진행 속도가 느리고 수술 후 경과도 좋은 편에 속합니다. 그러나 다른 암은 완치 판정을 5년을 기준으로 하는 데 비해 유방암은 5년이 지난 후에도 꾸준한 관찰과 정기 검진이 요구됩니다. 유방암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재발과 전이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암은 그 크기와 전이에 따라 5단계로 병기를 나누는데 유방암은 분류하는 기준이 한 가지가 더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암의 속성에 따른 분류입니다. 암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유방암은 그 종류에 따라 다른 치료법이 요구되는 세밀한 암입니다. 

 


또한 유방암은 수술적 치료를 받게 되면, 절제 부위가 겉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정교한 수술법과 복원기술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그 방법 중 하나가 유방의 전체를 절제하지 않고 절제 부위를 최소화 하는 부분절제술입니다. 수술 전 항암치료를 통해 절제할 부위를 축소하거나 수술 후 방사선 치료로 남아 있는 암의 흔적을 제거함으로써 가능해진 수술법입니다. 2000년대 초반까지는 유방전절제 수술이 많았지만 2006년을 기점으로 바뀌어 현재는 60% 이상이 유방부분절제술로 진행됩니다. 

 

한국 유방암의 특징, 젊은 유방암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유방암 검진은 만 4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합니다. 그렇다고 20~30대 여성들이 유방암으로부터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현재 우리나라 다른 나라에 비해 젊은 유방암 환자의 비율이 높은 편입니다. 젊은 여성들은 활발한 사회적 활동과 출산 준비를 할 시기이기에 유방암으로 받는 타격은 유독 큽니다. 

 

그렇다면 한국이 젊은 유방암 환자의 비율이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중 하나는 서구화된 라이프 스타일로의 변화입니다. 우리의 식생활이 빠르게 서구화됨에 따라 중년 이상의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젊은 여성들이 서구화된 환경 가운데 노출이 빈번해졌고 결과적으로 식생활의 변화는 체내 환경까지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폐경 후 비만, 유방암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폐경 후 많은 여성은 체중 증가를 경험합니다. 게다가 여성호르몬과 기초대사량의 감소로 체중 감량도 쉽지 않아 비만하지 않은 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욱 힘이 듭니다. 이러한 여성의 체내 변화가 유방암에 취약하게 합니다. 

폐경 전에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비만이 암을 일으키는 효과를 상쇄시킵니다. 하지만 폐경 후에는 에스트로겐의 역할이 줄면서 비만이 암 발생에 더 강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살이 찌지 않도록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폐경기 여성들에게 적절한 식단 관리와 운동은 유방암 발병 위험을 낮추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몸의 변화를 이해해야 합니다. 폐경 후 여성들은 골밀도가 감소하고 관절에 통증을 겪기 때문에 무리한 운동은 몸을 더욱더 망치기 때문입니다. 


폐경기 여성들을 위해 개발된 식단과 운동법을 3주간 적용하고, 나타난 몸의 변화를 살펴봅니다. 

 

탄수화물은 줄이고 두부, 생선, 해산물과 같은 단백질 섭취를 늘리고 다양한 색깔의 채소를 포함해 필수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해야 합니다. 필수 영양소를 갖춘 한 끼 400kcal 정도의 식사에 다양한 채소를 곁들어 섭취합니다. 그리고 체지방을 감량하기 위해서는 최대 심박수의 65%에서 80% 정도의 중강도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가자들은 3주 후 체지방이 감소하고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가 떨어져 대사증후군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꾸준한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 그리고 내 몸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건강한 가슴을 지키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유방암은 제일 중요한 것이 조기 검진입니다. 암이 생기더라도 빨리 발견하면 암은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