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조선 내 몸 사용 설명서 330회
지방 태우는 갈색 지방과 베이지색 지방
갈색 지방은 지방을 태우는 착한 지방인데 반해 백색 지방세포는 염증을 만들고 비만을 유발합니다. 베이지 지방세포는 백색이었다가 갈색의 역할을 하는 지방세포입니다.
우리 몸에는 갈색 지방세포가 많지 않기 때문에 베이지색 지방세포를 갈색의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베이지색 지방세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1) 저온 노출이 필요한데 서늘한 곳이어도 효과가 있습니다. 15-20도 사이면 베이지색 지방세포가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2) 근력 운동이 필요합니다.
운동을 하면 만들어지는 이리신 호르몬이 혈관을 통해 백색지방으로 이동하면 미토콘드리아 생성에 영향을 줘서 지방세포 색이 변하게 됩니다. 근육이 많은 하체의 허벅지 근육을 단련하면 베이지색 지방세포를 늘리는 데 효과적입니다.
갈색, 베이지색 지방세포 늘리는 운동
하체 키워! 운동
1. 양팔을 펴고 다리를 벌려 大자 모양으로 섭니다.
2. 허리를 바르게 세우며 무릎을 굽히며 앉습니다.
3. 굽힌 무릎을 펴면서 오른쪽 다리를 왼쪽으로 찹니다.
4. 다시 내려갔다 올라오면서 반대쪽 다리를 찹니다.
척추 세워! 운동
1. 어깨와 등, 허리가 일자가 되도록 엎드립니다.
2. 양팔은 가슴 옆에 두고 W 모양이 되도록 합니다.
3. 숨을 마신 다음 내쉬면서 상체와 다리를 듭니다.
무리하지 말고 가능한 만큼만 들어 올립니다.
갈색 지방세포를 늘리기 위해서 고강도 운동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시간을 길게 잡고 중저강도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다이어트에 도움되는 <호두 캐슈넛 건 체리>
호두에는 리놀렌산, 리놀레산, 올레인산 등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해서 혈액 속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칼륨이 풍부해 나트륨 감소에 효과적입니다.
캐슈넛은 적은 양으로도 포만감을 느낄 수 있고 비타민K, 리놀렌산, 판토텐산, 마그네슘이 풍부해서 비만으로 인한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건 체리의 폴리페놀 성분은 염증을 완화시키고 체내 나쁜 지방을 연소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1. 브로콜리를 끓는 물에 30초 가량 데칩니다.
2. 씻은 토마토의 뚜껑을 잘라내고 칼이나 숟가락을 이용해 속을 파냅니다.
3. 파낸 토마토 속과 데친 브로콜리를 다집니다.
4. 건 체리, 캐슈넛, 호두를 먹기 좋은 크기로 다집니다.
5. 다진 견과를 트러플 오일과 메이플 시럽을 넣고 볶습니다.
다진 견과, 오일, 시럽은 토핑용으로 조금 남겨둡니다.
6. 모든 재료를 토마토 속에 넣고 전자레인지에 30초 돌립니다.
7. 남겨둔 견과를 뿌린 후 뚜껑을 덮어주면 완성입니다.
3개월 만에 20kg 감량 다이어트 성공 비결
1) 단백질 섭취를 돕는 화이트 푸드
두부, 달걀 흰자, 오징어로 운동 후에 단백질 보충합니다.
2) 탄수화물 섭취를 줄여주는 옐로우 푸드
찐 단호박 안에 노란 파프리카와 귀리밥을 볶아서 넣으면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는 건강 식단이 됩니다.
3) BNR17 유산균
체지방 감소 모유유래 유산균 <BNR17 유산균>
BNR17 유산균은 건강한 한국인 산모 모유에서 추출한 유산균으로 풍부한 단백질과 700여 종의 모유 미생물과 200여 종의 천연 올리고당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식약처 인정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분인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 균주가 함유되어 있어 체내 유익균을 늘려 장 건강과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줍니다.
밥, 빵, 면과 같은 탄수화물 음식을 섭취하면 소화 효소에 의해 분해가 되는데 단당류로 쪼개지면 몸에서 흡수가 됩니다. 단당류는 체내 흡수율이 높기 때문에 쉽게 체중이 증가하게 됩니다. 모유 유산균은 단당류를 체내 흡수율이 낮은 다당류로 변환시키기 때문에 탄수화물 흡수를 막아 백색 지방세포 축적을 막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실제로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에게 모유 유산균을 섭취하게 한 결과 복부 팽만감이 감소하고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비만 또는 과체중 성인 남며 62명을 대상으로 12주간 모유 유산균을 섭취하게 한 결과 체중 증가가 억제되고 BMI 지수 감소, 허리둘레와 엉덩이 둘레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루 섭취 권장량은 400-500mg입니다. BNR17 유산균은 고온에서 사멸되기 쉬우므로 미지근한 물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병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증완화 독소배출에 도움주는 시금치 효능과 활용법, 시금치 콤부차 만드는 법 시금치 소금 (0) | 2020.12.05 |
---|---|
콩팥건강 지키는 방법, 만성피로 증후군에 좋은 영양제 비타민B군 효능 (0) | 2020.12.05 |
커피가 골다공증을 유발한다? 커피 효능 부작용 (0) | 2020.12.05 |
지방간 예방하는 배추 효능 활용법, 배추고 배추 동부미 우거지 (0) | 2020.12.04 |
내장지방 체중감소에 도움주는 모유 유산균 BNR17 효능 <기적의 인생> (0) | 2020.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