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방세동 3

부정맥이란? 증상 예방법, 심박수 관리방법

KBS 생로병사 764회 당신의 심박수는 몇입니까? "생명은 최초의 심장 박동으로 시작되며, 마지막 박동으로 끝난다." 심장은 평생동안 단 한 순간도 쉬지 않고 박동합니다. 심장의 박동으로 몸속 곳곳에 피가 순환되고 그 덕분에 몸속 장기들은 산소를 공급받아 기능합니다. 이처럼 심장이 뛴다는 것은 살아 있다는 증거이고, 심장이 멈췄다는 것은 생명 활동이 끝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심장에 이상이 생긴다면, 우리는 어떻게 알아차릴 수 있을까요? 심장의 언어, 심박수 심장이 박동하는 횟수를 뜻하는 '심박수'로 심장이 보내는 이상 신호를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심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심부전이나, 부적절하게 박동하는 부정맥 등 심장에 질환이 있는 경우 심장의 박동이 특이적으로 뛰기..

질병 건강정보 2021.02.08

심장노화 심방세동 증상 치료, 심전도검사

MBN 엄지의 제왕 351회 심장 질환을 일으키는 주범은 노화된 심장 때문! 우리 몸의 심장은 자동차의 엔진과 같은 역할로 심장이 멈춰 혈액 공급이 안되면 7초 만에 실신을 하게 되고 심장이 멈춘 채 4분이 지나면 이미 뇌가 손상됩니다. 10분이 지나면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심장은 노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 장기인데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소홀히 하기 쉽습니다. 심장은 가슴 중앙에서 약간 왼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본인의 주먹 크기 정도로 무게는 250-300g 정도입니다. 근육으로 이루어진 심장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산소와 영양소를 온몸에 전달하고 노폐물은 수거해 폐와 신장으로 옮기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나이가 들수록 심장 근육이 탄력이 떨어지면서 혈액 순환이 저하되고 돌연사의 원인이 될 수 있습..

질병 건강정보 2019.10.09

제멋대로 뛰는 심장! 부정맥 심방세동 증상과 치료법

EBS 명의 598회 심장의 기능과 부정맥 심장은 위쪽에 2개의 심방과 아래쪽에 2개의 심실, 모두 4개의 방으로 되어 있습니다. 심장은 온 몸으로 혈액을 내보내기 위해서 쉬지않고 펌프질을 하는데 심장이 펌프질을 하려면 전기가 필요합니다. 우심방 위쪽에 있는 동방결절이 바로 전기를 만들어 내는 발전소입니다. 이곳에서 전기를 내보내면 심장 근육 속에 박혀있는 전기회로를 따라 방실결절로 보내지고 우리 몸 구석구석에 혈액이 돌게 됩니다. 그런데 심장을 뛰게 하는 전기 신호에 문제가 생기면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아예 뛰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것이 부정맥입니다. 정상적인 맥박 수는 분당 약 60-100회 정도로 운동을 하거나 힘들 일을 하게 되면 심장 박동은 빨라집니다. 그런데 특별한 활동 없이도 심장이..

질병 건강정보 2019.02.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