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건강정보

침샘암 초기증상 자가진단법, 수술 치료방법

건강통통 2023. 4. 13. 09:43
반응형

KBS  생로병사의 비밀 851회

 

만져보면 찾을 수 있다, 침샘암

전래동화 ‘혹부리 영감’에서 혹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오늘날 전문의들은 혹부리영감의 혹에 가장 가까운 질환은 '양성 침샘종양'이었을 것이라 말합니다. 실제로 침샘에 종양이 생긴다면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아직까지 발병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침샘암은 조기진단이 유일한 예방법입니다. 침샘암은 자가진단으로 조기 발견이 가능합니다. 

 

침샘은 입안으로 소화액(침)을 분비하는 샘으로 타액선이라고도 합니다. 침샘은 큰 침샘인 귀밑샘(이하선), 턱밑샘(악하선), 혀밑샘(설하선)과 작은 침샘(부타액선)으로 구성되고, 침의 약 90%는 큰 침샘에서 생성됩니다. 침에 섞인 아밀라아제 등의 효소는 초기 소화작용에 관여하고 미각을 전달할 뿐 아니라 구강위생 유지 기능 등 전신적인 인체의 방어기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침샘암이 가장 많이 생기는 곳은 귀 아래쪽에 있는 귀밑샘입니다. 침샘 주변에는 수많은 얼굴 신경이 지나갑니다. 귀밑샘에는 안면 근육을 관장하는 안면 신경이 통과합니다. 림프절도 포함되어 있어 침샘암이 귀밑샘 림프절로 퍼질 수 있습니다. 턱밑샘 옆에는 맛을 느끼고 혀와 아래입술을 움직이는 신경이 지납니다. 혀밑샘은 종양이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암이 생기면 안면 마비나 입을 벌리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조금만 진단이 늦어도 치명적일 수 있다?

우리 몸에는 어디나 종양이 생길 수 있듯이, 침샘에도 종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침샘 종양의 80%-90%는 양성 종양이고 악성 종양은 10%가 채 되지 않습니다. 그중에서도 침샘에 생긴 악성종양을 '침샘암'이라고 말하며 주로 귀밑샘(이하선)에서 발생합니다. 


침샘암은 인구 10만 명당 2명 정도 발병하는 매우 드문 암으로 다른 암보다 관심이 낮지만 조금만 진단이 늦어도 치명적일 만큼 무섭습니다. 턱 주변이 부어오르고 얼굴과 목, 뺨에 지속해 통증이 발생하거나 감각이 좀 둔해지는 경우, 침샘에 종괴가 만져지는 경우에는 침샘암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암 발생의 0.2%를 차지하는 침샘암.수백 개의 침샘 어디에서든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평소 침샘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그렇다면 침샘암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아직 침샘암의 발병원인에 대해 확실히 알려진 것은 없습니다. 다만 만성 염증을 앓는 경우, 방사선 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에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발병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뚜렷한 예방법도 없는 침샘암, 그래서 침샘에 생기는 증상을 알고 잘 관찰해야 합니다. 

 

침샘의 종괴 중 악성을 의심해야 하는 경우는 안면신경마비가 발생하거나, 동측 혀의 마비 혹은 감각이상이 있을 때,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 종괴가 주변구조물이나 피부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주변 림프절이 만져지는 경우 등입니다.

 

입속의 암! 어떻게 치료해야할까?

침샘 종양은 국소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완전히 절제하는 것이 근본적인 치료입니다. 얼굴신경과 귀밑샘(이하선) 주위의 절제 범위는 종괴의 크기,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침샘에서 종양이 발견되면 세침흡인검사(종괴를 바늘로 찔러 세포를 채취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진단하는 방법)를 통해 종양의 악성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 검사를 받기까지 많은 환자가 시간을 허비합니다. 귀와 턱 주변에 무언가가 만져지면 방치하지 말고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수술 시에는 사전에 얼굴 신경을 찾아 종양과 안전하게 분리한 후 종양만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칫하면 얼굴 신경을 건드려 안면신경의 손상이 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미 진행된 커다란 종양은 수술 결과나 조직학적 소견에 따라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고려하기도 합니다.

 

세기조절 방사선치료

침샘암 방사선 치료는 보통 수술  후 한달 이내에 시작합니다. 방사선  치료 원리는 에너지가 높은 방사선이 암 세포의 DNA를 파괴해서 암 세포가 증식을 멈추고 사멸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세기조절 방사선치료는 종양의 모양과 위치에 따라 방사선 세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암 조직에는 많은 양의 방사선을 보내고 정상 장기를 통과할 때는 방사선 양을 최소화해서 암에 대한 파괴력은 높이고 정상 조직은 최대한 보존합니다.

 

양성자 치료

양성자 치료의 대상은 환자의 암 위치, 구강 내 보철물 등 환자의 상황에 따라 결정합니다. 양성자 치료는 양성자 빔이 정상 조직을 통과하여 암 조직에 도달하는 순간 막대한 양의 방사선 에너지를 쏟아붓고 급격하게 사라집니다. 이는 양성자의 고유한 물리적 특징인 브래그 피크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암세포는 최대한 파괴하되 암 주변 정상 조직은 최대한 보호해서 후유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만져보면 찾을 수 있다! 조기발견의 중요성

침샘암의 조기 발견이 중요한 이유는 조기 발견 시 치료 성공률이 그만큼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삼성서울병원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저악성도 침샘암은 잘 번지지 않으며 성장 속도도 매우 느린 편이고 재발도 매우 적어 90% 이상의 완치율을 보입니다. 하지만 고악성도 침샘암의 경우 전이가 생기기 시작하면 5년 생존율이 44% 미만입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들은 자가검진법을 통해 침샘 부위를 자주 만져 보고, 이상이 있으면 전문가에게 진찰과 검사를 받으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침샘암 자가검진법


귀뼈의 앞부분과 턱뼈의 뒤쪽에 공간이 있는데 이 공간을 깊게 누르면 종양이 만져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턱뼈의 아래쪽하단부터 목의 아래쪽 부분을 약간 위쪽으로 누르면 종양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