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건강정보

손목터널증후군 건초염, 손과 손목 통증 원인과 진단법, 손 마사지 스트레칭

건강통통 2021. 2. 16. 19:34
반응형

채널A 나는 몸신이다 319회

 

앗차 하면 손 쓸 수 없다! 스마트폰 통증

코로나 이후 대한민국 국민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 하루 약 4시간! 15년 사이 남녀노소 누구나 손에서 놓지 않는 필수품이 됐는데, 이것이 손과 손목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자세는 목에서부터 손까지 이어진 신경을 누를 수 있고 반복적인 과사용은 염증을 일으킵니다. 증상이 심해지면 컵을 드는 것과 같은 가벼운 동작도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1대당 무게는 약 200g 내외로 스마트폰을 받치는 엄지 바닥 부분에 전해지는 무게감은 실제 무게의 약 12배 정도라고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화면이 클수록 터치하는 범위가 넓어지면서 손가락에 쌓이는 피로도가 많아지게 됩니다. 

 

 

방아쇠수지 증후군

손가락을 굽히는 데 사용되는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손가락을 구부릴 때 총의 방아쇠를 당길 때처럼 딱 소리와 함께 걸리는 듯한 느낌과 통증을 유발합니다. 

 

스마트폰 통증이 불러온 손 질환 - 1) 신경 압박

무지구근 위축 상태

목에서부터 시작돼 손목 정중앙을 지나 엄지부터 네 번째 손가락까지 연결된 정중 신경은 근육이 움직일 수 있게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손목이 눌리면서 정중 신경 역시 함께 눌리게 되어 손목터널증후군이 생기고 더 심해지면 엄지손가락 아래 무지구근 근육이 말라버리게 됩니다. 

 

무지구근 위축 상태는 손목터널증후군이 자주 생기는 중년 여성들에게서 볼 수 있었는데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과사용이 손목에 무리를 주다 보니 다양한 연령층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엄지부터 네 번째 손가락까지 저리거나 감각이 느껴지지 않는 손목터널증후군이 계속되면 무지구근 위축 상태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팔꿈치 터널증후군

척골 신경은 목에서부터 시작해 팔꿈치 아래를 지나 새끼손가락과 넷째 손가락까지 연결된 신경입니다. 팔꿈치 터널증후군은 척골 신경이 팔꿈치 안에서 눌리면서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주로 팔꿈치를 많이 사용하는 미용사, 요리사, 운동선수들에게서 주로 나타납니다. 

 

통증 자가 진단법

정중 신경을 통해 알아보는 손목터널증후군

1. 가슴 앞에서 양손의 손등을 맞댑니다. 

2. 손목의 각도는 90도를 유지, 약 30초-1분 동안 통증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무리하게 손목을 꺾지 않고 최대한 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를 유지해서 진행합니다. 

 

 

척골 신경을 통해 알아보는 팔꿈치터널증후군

1. 양팔을 앞으로 쭉 내밉니다. 

2. 얼굴을 받치는 것처럼 팔꿈치를 접어 손목을 뒤로 젖힙니다. 

3. 30초-1분 정도 유지하며 증상을 확인합니다. 

 

네 번째, 다섯 번째 손가락이 저리다면 팔꿈치터널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통증이 불러온 손 질환 - 2) 힘줄 염증

팔에 있는 근육들은 손목을 지나면서 힘줄로 바뀌고 손가락을 구부리고 펴는 동작을 돕는데 힘줄의 과부하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것이 건초염입니다. 손목에는 여러 개의 힘줄이 지나는데 건초염은 힘줄을 감싸고 있는 막에 생기는 염증으로 손목협착성 건막염이라고도 합니다. 

드퀘르벵병

1800년대 스위스 의사 드퀘르벵이 당시 손빨래를 많이 하는 중년 여성들이 공통적으로 통증을 느끼는 부위가 있다는 걸 발견해서 이름 붙여진 '건초염'의 하나입니다. 

 

스마트폰을 과사용하면 엄지로 가는 두 개의 힘줄에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데 통증이 악화되면 젓가락질이나 글씨를 쓰는 것조차 어렵게 됩니다. 

 

힘줄 상태를 알아보는 힘줄 과부하 테스트

1. 양팔을 앞으로 뻗은 후 주먹을 쥡니다. 

2. 손목을 아래로 지그시 내립니다. 

3. 이때 양 손목의 각도가 다르거나 뻣뻣하거나 통증이 있다면 힘줄 과부하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손과 손목 힘줄에 염증이 있다면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고 염증 치료가 끝날 때까지 움직이지 않는 것이 필요합니다. 

 

손 건강 개선시키는 <개과천손 운동법>

손에 염증으로 인한 통증이 있을 경우 손 사용 자체를 자제하고 병원에서 염증 치료를 먼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단계 - 손 마사지

1. 손끝을 강하게 눌러 마사지해줍니다. 손가락 끝마디를 꾹꾹 눌러줍니다. 

2. 손가락을 밀어주듯 마사지해줍니다. 손가락을 당기지말고 밀어내듯이 합니다. 

3. 손바닥을 엄지 두덩근, 손바닥 중앙, 새끼 두덩근 세 부위로 나눠 밀듯이 마사지합니다. 

 

1단계 - 손가락 사이 스트레칭

1. 엄지와 새끼손가락을 모아 손가락 사이로 넣어줍니다. 

2. 모은 엄지와 새끼손가락을 양옆으로 쫙 벌려줍니다. 

3. 그다음 손가락 사이로 이동하며 엄지와 새끼손가락을 모았다 벌려줍니다. 

4. 엄지 스트레칭의 경우 두 손을 나란히 벌리며 지그시 밀어줍니다. 

 

1단계 - 손가락 위아래 스트레칭

1. 엄지와 검지 사이 공간에 반대편 스트레칭할 엄지를 걸고 뒤로 넘깁니다. 

2. 뒤로 넘겨 손을 고정한 다음 스트레칭할 나머지 손가락을 아래로 지그시 내려줍니다. 

3. 다음 손가락으로 이동해 가면서 고정한 후 나머지 손가락들을 아래로 내립니다. 

 

2단계 - 손목 굽힘근 스트레칭

1. 스트레칭할 손은 정면을 항해 뻗습니다. 그다음 반대편 손으로 뻗어 있는 손가락을 잡습니다. 

2. 팔꿈치를 펴 뻗어 있는 손을 앞으로 지그시 밀어냅니다. 

3. 엄지손가락은 옆으로 민다는 느낌으로 지그시 밀어냅니다. 

4. 손을 살짝 옆으로 튼 상태에서 앞으로 쭉 밀어서 팔 안쪽까지 스트레칭합니다. 

5. 반대편 방향으로 틀어 앞으로 쭉 밀어줍니다. 

2단계 - 손목 폄근 스트레칭

1. 주먹을 쥔 뒤, 반대편 손으로 주먹 쥔 손을 잡습니다. 이때, 반대편 손은 뒤에서 잡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2. 주먹 쥔 손은 안쪽으로 빠져나가려는 듯이 구부려줍니다. 

3. 다시 손을 폈다가 주먹을 쥐면서 안쪽으로 구부려 쭉 밀어냅니다. 

4. 구부릴 때 새끼손가락, 엄지손가락 방향으로 각각 빠져나가듯이 밀어줍니다. 

 

3단계 - 팔 굽힘근 이완

1. 팔 안쪽을 위로 향해 앞으로 뻗습니다. 

2. 반대편 손으로 내측상과에서 두 칸 정도 내려와 살짝 압박해 펼친 손을 위아래로 5회 움직입니다. 

3. 압을 준 상태에서 펼친 손을 좌우(5회)->회전(5회)->반회전(5회) 순으로 움직입니다.

4. 다음으로 엄지손가락 한 칸 옆으로 이동해 지압합니다. 

5. 밑으로 한 칸씩 이동해 지압하면서 위아래->좌우->회전->반회전 순서로 각 5회씩 마사지해 줍니다. 

 

3단계 - 팔 폄근 마사지

1. 팔 바깥쪽 외측상과에서 두 손가락만큼 밑으로 내려와 지압합니다. 

2. 살짝 압을 준 상태에서 위아래로 5회 움직입니다. 

3. 좌우->회전->반회전 순으로 각 5회씩 움직입니다. 

4. 한 칸씩 밑으로 이동해가며 위아래->좌우->반회전 각 5회씩 반복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