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건강정보

쥐난 혈관 전조증상 혈관건강 도움되는 식물성 오메가3 효능

건강통통 2020. 10. 26. 09:47
반응형

TV조선 내 몸 플러스 219회

 

순식간에 목숨 앗아가는 <쥐난 혈관>

쥐는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수축하며 통증을 유발하는 현상으로 혈관에도 쥐가 날 수 있습니다. 혈관 근육층의 수축으로 혈관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혈관이 점점 굳어가는 것입니다. 

 

혈관 근육이 마비되는 원인은 1) 급격한 기온 차이 2) 염증 과다 3) 독한 지방(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일 수 있습니다. 혈관이 좁아지거나 뻣뻣해지면서 돌연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시골 보안관이 된 안용혁씨, 뇌경색 극복한 사연

음주, 흡연, 스트레스는 혈관에 악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담배 속 니코틴 성분은 혈관 근육을 과도하게 수축시킵니다. 흡연 중 어지럼증은 혈관이 좁아져 뇌 혈류를 감소시키기 때문입니다. 담배 한 개비에 30분 이상 혈관이 좁아지게 됩니다.

 

 

방치하면 죽는다?! 쥐난 혈관이 보내는 신호

이유 없이 생기는 멍

멍은 터진 혈관의 혈액이 조직에 들어가 생긴 피부 변화인데 혈관에 쥐가 나면 뻣뻣해지고 탄력이 떨어져서 사소한 자극에도 손상이 됩니다. 이유 없이 멍이 자주 생기는 경우 쥐난 혈관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건망증

혈관에 쥐가 나서 혈액 공급이 잘 안되면 뇌 신경세포가 수축해 기억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갑자기 나빠진 시력 

혈관에 심한 경련이 발생하면 수 초에서 24시간 내 일시적 혈관 막힘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것이 일과성뇌허혈발작, 미니 뇌졸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미니 뇌졸중 증상 중 하나가 시력 저하입니다. 

 

손상 범위가 작은 경우 편마비, 언어장애 없이 시야 장애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력 저하가 갑자기 나타나면 뇌졸중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흉통(가슴 통증)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70% 이상 좁아진 상태입니다. 협심증이 심근경색으로 발전해 돌연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추워질 때는 아침 흉통을 특히 주의해야 하는데 과도한 혈관 수축으로 협심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쥐난 혈관 예방법

혈액순환 뿜뿜 <합장 운동>

1. 의자에 앉아 다리를 모읍니다.

2. 두 손바닥을 가슴 앞에 마주 붙입니다. 심장 위치까지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3. 양손을 힘을 주어 서로 밀어줍니다. 

4. 무릎 역시 힘을 주어 모아줍니다. 숨을 내뱉으며 10초동안 유지합니다. 

쥐난 혈관 예방하는 <3분 지압법>

1. 예풍혈 - 양쪽 귓불 바로 뒤 움푹 들어간 곳을 1분 지압합니다. 

머리로 가는 기혈순환을 도와 혈액순환을 촉진합니다. 

 

2. 소해혈 - 팔꿈치 안쪽에 접히는 주름의 끝을 1분 지압합니다. 

과도한 교감신경계 작용을 조절해 혈관을 이완합니다. 

 

3. 태계혈 - 안쪽 복사뼈와 아킬레스건 사이의 오목한 곳을 1분 지압합니다. 

혈관 노폐물을 걸러내는 기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혈관 건강 도움되는 <식물성 오메가3>

식물성 오메가3는 바다생물 먹이사슬 최하단인 미세조류에서 추출한 오일입니다. 우리 몸에 꼭 필요한 필수 지방산인 오메가3는 체내 합성되지 않아 식품으로 반드시 섭취해야 합니다. 

 

오메가3 지방산은 EPA와 DHA로 나뉘는데 EPA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조절해 혈전 예방에 도움을 주고 DHA는 신경호르몬 전달을 촉진해서 두뇌 작용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식물성 오메가3는 미세조류, 견과류 등 식물성 급원에서 배양, 추출한 오메가3 지방산입니다. 실제로 미세조류 추출 오메가3 지방산을 섭취한 쥐들은 사이토카인 분비 감소로 혈관 내 염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성인들을 대상으로 미세조류 추출 DHA를 섭취하게 한 결과 중성지방 수치가 15-20%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 하루 권장 섭취량은 500-2,000mg입니다.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수술을 앞두고 있거나 혈액 응고 억제제를 복용하는 경우에는 전문의와 상의 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