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른비만 3

마른 비만 자가진단, 체지방 뱃살빼기 식단 운동법

KBS 생로병사의 비밀 887회 몰라서 더 위험하다 '마른 비만' 날씬해도 비만일 수 있다? 겉보기에 날씬하고 말랐어도 '비만'일 수 있습니다. 체지방률이 남성은 25%, 여성은 30% 이상일 경우, 체질량지수가 정상 범위여도 마른 비만으로 진단합니다. 가는 팔과 다리에 배만 볼록 튀어나온 것이 마른 비만의 특징인데, 복부에 몰려있는 지방은 당뇨,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을 유발합니다. BMI(체질량지수)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만 지표로 키와 몸무게를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25이상이면 비만입니다. 저체중은 19.9이하, 표준은 20-25, 과체중 : 25-29.9, 비만 : 30-40, 고도비만 : 40.1 이상(kg/m2). 배의 지방은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으로 나뉩니다. 피하지방은 말 그대로 피부 바로 ..

질병 건강정보 2023.11.16

제3의 지방 이소성지방 쌓이는 원인과 유발 질환

채널A 나는 몸신이다 216회 제1의 지방, 제2의 지방은? 우리가 음식을 섭취할 때 소비할 수 있는 양 이상의 에너지를 섭취하면 남는 영양분은 피부 밑 피하지방으로 몸속에 쌓이게 됩니다. 더 많아지면 내장지방으로 쌓이게 됩니다. 의학 용어는 아니지만 피하 지방에 쌓인 지방을 제1의 지방, 내장에 쌓인 지방을 제2의 지방으로 부릅니다. 제3의 지방이라 불리는 이소성 지방은 있어서는 안 될 곳에 있는 지방을 뜻합니다. 심장, 간, 콩팥이나 췌장과 같이 있어서는 안되는 곳에 쌓인 지방을 제3의 지방이라고 합니다. 장기와 근육 틈새로 비집고 들어간다! 제3의 지방과 내장 지방은 쌓이는 위치가 조금 다르고 위험한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구분을 합니다. 내장 지방이 장기 사이사이 빈 공간에 쌓이는 지방이라면 제3의..

질병 건강정보 2019.02.27

비만대사 수술 복부비만율 체질량지수 뱃살 빼는 방법 <생로병사>

뱃살, 당신을 노린다! 심각한 만성질환을 유발하는 뱃살! 뱃살은 정말 안 빠지는 걸까? 비만대사 수술이란? 비만(체질량)지수가 35를 넘어가면서 성인병이 동반되기 시작하면 식이요법을 통한 체중조절과 운동 만으로는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수술을 하게 됩니다. 복강경으로 위의 일부를 절제해 용적을 줄이는데 먼저 위 주변의 내장지방을 떼어내고 위를 세로로 길게 잘라냅니다. 위의 고유 기능인 음식을 부수고 잘게 만드는 기능을 그대로 살려두면서 저장할 수 있는 기능만 없애는 수술이라고 합니다. 요요의 가능성이 굉장히 낮기 때문에 감량한 체중을 유지하면서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들이 효과적으로 개선되기 때문에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연령별 복부비만율 여성은 폐경기 이후에 복부 비만이나 체중이 늘어날 위험이 ..

질병 건강정보 2018.10.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