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 천기누설 438회
혈관 건강 살리는 뿌리채소 <연근>
혈관 건강을 위협하는 활성산소로부터 우리 몸을 방어하는 방법은 항산화력을 기르는 것입니다. 항산화력을 키우려면 꾸준한 운동과 더불어 항산화 성분을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뿌리채소는 자생력이 높고 스스로를 방어하는 파이토케미설 성분으로 항산화 작용이 뛰어납니다. 뿌리채소 중 연근은 연꽃의 뿌리줄기로 아삭한 식감으로 국민 반찬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연근 속 풍부한 뮤신 성분은 소화를 촉진하고 위벽을 보호해서 위장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특히, 연근 속 안토크산틴 성분은 항산화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체내 산화작용을 억제해 환절기 신체에 활력을 주고 동맥 내 염증을 억제해서 혈관 속에 혈전이 쌓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실제 한 연구에서는 연근 추출물이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혈관에 혈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좋은 연근 고르는 법
연근은 표면에 상처가 없고 10-15cm 길이의 연근이 좋습니다.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연근의 마디가 막혀 있는 것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연근 오래 보관하는 방법
연근을 신문지로 한장씩 사서 비닐에 넣고 상온이 아닌 냉장 보관하면 오래 보관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연근 활용법
연근 조림을 만들 때 물에 담그면 안된다?
연근은 어떻게 조리하느냐에 따라서 혈액 순환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콜레스테롤 배출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연근 조림을 만들 때 물에 담그는 것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연근을 손질할 때 물에 담갔다가 사용하게 되면 연근의 영양분을 버리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실제 연근의 전분 제거와 갈변을 막기 위해 물에 담갔다가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활성산소를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연근 속의 안토크산틴 성분은 물에 녹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물에 담그면 영양 손실이 생기게 됩니다. 연근의 영양분을 그대로 섭취하기 위해서는 물에 담그지 않고 바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대로 된 연근조림 만들기
1. 연근 1개를 흐르는 물에 씻어 흙을 제거해줍니다.
2. 껍질을 얇게 벗긴 후 적당한 크기로 연근을 썰어줍니다.
3. 간장과 올리고당을 각각 2큰술씩 넣어 조려줍니다.
4. 검은 콩을 함께 넣어줍니다.
콜레스테롤 배출, 말린 연근 활용법!
연근을 말리게 되면 중성 지방과 콜레스테롤 배출에 도움을 주는 연근 속 타닌 성분과 뮤신 성분이 증가하기 때문에 말려서 사용하면 혈관 질환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연근을 말릴 때는 껍질 째 말리는 것이 좋습니다. 말리게 되면 쓴맛은 사라지고 영양은 배가 됩니다.
말린 연근을 분쇄기에 넣고 갈아줍니다. 연근 가루는 연근차로 마시거나 천연 조미료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혈관 건강 <연근 죽>
연근의 안토크산틴 성분은 열을 가했을 때 체내 흡수율을 높일 수 있지만 수용성으로 물에 넣어 삶게 되면 영양소가 손실됩니다. 연근을 쪄서 요리에 활용하는 것이 체내 흡수율을 높이고 영양소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찐 연근 1개는 물 1컵을 넣고 믹서에 갈아줍니다.
2. 당근과 애호박 반 개를 잘게 썰어 볶아줍니다.
3. 멸치 육수 2컵과 멥쌀 한 줌을 넣어 끓입니다.
4. 죽이 완성되면 갈아둔 연근을 넣고 섞어줍니다.
5. 마지막으로 들기름 1큰술을 넣습니다.
혈관 건강에 도움주는 <연근 샐러드>
1. 찐 연근 1개는 얇게 잘라줍니다.
2. 땅콩과 검은깨 각각 한 줌을 갈아 샐러드 소스를 만듭니다.
3. 찐 연근과 치커리를 그릇에 담고 소스를 뿌려줍니다.
치커리 속 마그네슘 성분과 인티빈 성분은 연근 속 아세틸콜린 성분을 촉진시키고 항산화 작용에 좋은 시너지 효과를 내어 뇌경색, 뇌졸중과 같은 혈관 질환 완화에 도움이 되는 좋은 활용법입니다.
'질병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욕억제 귀 지압법, 체중감량에 도움주는 대파 효능 활용법 <천기누설> (0) | 2020.11.20 |
---|---|
만성 통증 잡는 방법, 오미자 효능과 부작용 (0) | 2020.11.18 |
숙면 도와주는 감태 추출물 효능, 수면부족 코골이 이갈이 무릎명상법 <나는 몸신이다> (0) | 2020.11.18 |
복부 비만 탈출! LGG유산균 효능 섭취방법 (0) | 2020.11.18 |
얼굴과 목 안의 악성종양! 두경부암의 원인과 진단 치료법 <생로병사> (0) | 2020.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