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흡연
간접흡연은 본인이 직접 흡연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피우는 담배 연기를 비흡연자가 마시는 것을 말합니다. 간접흡연으로 노출되는 유해물질은 수천가지이며, 이 중 비소, 벤젠, 크롬, 부타디엔 등 발암성 물질도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노출 시 비흡연자에게 폐암, 후두암 등을 발생시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암 이외에도 소아에서 천식 악화, 폐렴 발생 및 성인에서 심뇌혈관질환을 발생시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간접흡연에 의한 건강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공공장소에서 흡연을 금지하는 금연문화 정착이 필요하고, 국가에서는 정책적으로 금연사업의 지원확대가 필요합니다.
발생원/원인
간접흡연은 환경적 흡연 노출 또는 이차흡연 또는 비자발적 흡연이라고도 부르며, 담배 제품(궐련, 연초, 파이프 담배 등)이 탈 때 나는 연기와 흡연자가 연기를 내뿜을 때 나오는 연기를 비흡연자가 원하지 않게 들여 마시게 되는 것을 지칭합니다. 즉, 흡연자가 흡인한 뒤 내뿜는 연기인 주류연과 담배가 타면서 담배 끝에서 나오는 부류연을 비흡연자가 마시게 되면 바로 간접흡연인 것입니다. 간접흡연을 할 때 노출되는 연기는 부류연이 80% 정도, 주류연이 20%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간접흡연이 발생하는 주된 장소는 집, 차 안, 작업장, 공공장소(식당, 술집 등)나 그 외에도 흡연하는 공간 내에서는 어디서나 노출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간접흡연의 형태는 궐련형 담배로 인한 것이며, 파이프형 담배, 시가형 담배로 인한 간접흡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종류
간접흡연으로 노출되는 발암성 유해인자는 최소 69가지라고 알려져 있고,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발암물질에 노출됩니다.
발생인자 및 종류
발암성이 확인된 인자
- 비소, 벤젠, 베릴륨, 1,3 부타디엔, 카드뮴, 크롬, 산화에틸렌, 니켈, 폴로니움-210, 염화비닐
발암성이 의심되는 인자
- 포름알데히드, 벤조피렌, 툴루엔
담배에는 이외에도 다양한 첨가물들이 포함되어 있으나, 제조사들이 영업 비밀로 분류하고 있어 알려지지 않은 물질도 많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물질 역시 담배가 타면서 연기로 흡입될 수 있습니다.
건강에 미치는 영향 - 건강문제
간접흡연은 흡연시 발생할 수 있는 대부분의 건강장애를 유발합니다. 간접흡연의 건강장애는 단기 및 장기 건강장애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습니다.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 질환
청소년 영유아
단기 건강장애 - 상기도 감염, 심출성 중이염, 영아돌연사 증후군, 천식 악화, 기관지염, 폐렴, 성장발달 장애
장기 건강장애 - 폐기능 감소, 천식발생률 증가, 암발생 증가
성인
폐암, 관상동맥질환
예방 및 대처
간접흡연을 예방하기 위한 접근 단계는,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인 접근방법이 있습니다. 간접흡연으로 인한 건강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간접흡연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장소로 알려진 가정 내 흡연을 줄이는 것이 우선입니다. 다음 단계로, 식당, 카페, 버스정류소, 공원 등 공공장소에서 흡연을 제한 또는 금지해야 합니다.
국가적으로는 법이나 정책을 통해 접근해야 하는데, 그것의 일환으로 국민건강증진법이나 관례 조례 등에 의해 2015년 1월 1일부터 모든 영업소가 금연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15년 1월에 이전보다 담배가격이 2000원 인상되었습니다.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금연구역 지정을 강화하고 지도사항 등을 명시하는 등 지속적으로 흡연율을 낮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주하는 질문
1. 간접흡연이 암을 유발할 수 있나요?
네, 국제암연구소의 공식 보고서에서도 사람에 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간접흡연은 비흡연자의 폐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미국의 경우 최소 한해 3,000명이 간접흡연에 의한 폐암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미국 공중보건위생국 공식 보고서에서는 비흡연자들이 흡연자와 사는 것만으로도, 20-30% 정도 폐암의 위험도가 높아진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성인에서 유방암, 비강암, 비인두암 등의 발병 위험이 높아지고, 소아에서는 백혈병, 림프종, 뇌종양의 위험도가 높아진다고 합니다.
2. 간접흡연이 일으키는 암 이외의 질환은 무엇이 있나요?
간접흡연은 비흡연자의 조기사망과 관련이 있습니다. 간접흡연으로 노출된 부류연의 흡인은 기도를 자극하고, 단시간에 심혈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대표적인 관상동맥질환인 심장질환의 위험도가 25-30% 정도 증가됩니다. 매년 미국에서는 간접흡연으로 인해 46,000명(추정)의 사망이 보고됩니다. 이외에도 간접흡연은 뇌졸중이나 동맥관련 질환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3. 간접흡연은 어린이에게 더 나쁜가요?
네, 아직 장기나 면역이 완전히 성숙하지 않은 어린이는 간접흡연에 더 취약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가 간접흡연에 노출된다면, 영아조기사망증후군, 중이염, 상기도염, 폐렴, 기관지염, 천식 증상의 악화 등이 발생할 수 있고, 발달저하 역시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출처 : 질병관리청
'질병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감소예방 하체근육 운동 식이요법, 무릎 관절 운동 (0) | 2021.11.03 |
---|---|
간기능검사 준비 금식, 검사항목 정상수치 (0) | 2021.10.28 |
산후 우울증 증상 자가진단, 치료 예방법 (0) | 2021.10.25 |
가려움증 원인 증상 치료, 피부건조 예방법 (0) | 2021.10.25 |
고혈당이란? 고혈당 진단 증상, 응급상황 치료 (0) | 202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