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근감소성 비만 2

노인 복부비만 체중관리 방법, 운동과 식이요법

노인의 체중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1. 비만이란? 비만이란 '체지방이 과다하고 이로 인해 건강상의 문제가 생기는 상태'를 말합니다(세계보건기구(WHO) 정의). 그러나 체내 지방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은 시행하기 어려우므로 대개 간접적으로 평가합니다.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이용하는 것과 허리둘레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1) 체질량지수를 통한 비만의 정의 (1) 체질량지수(BMI): 몸무게(kg)를 키의 제곱(m2)으로 나눈 값입니다. (예: 신장 170 cm, 체중 70 kg인 사람의 체질량지수는 24.2 (=70 kg/ (1.7 m)2) (2) 우리나라의 비만 기준: 성인 비만의 기준은 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입니다. 체질량지수 25.0..

질병 건강정보 2024.03.08

마른 비만 자가진단, 체지방 뱃살빼기 식단 운동법

KBS 생로병사의 비밀 887회 몰라서 더 위험하다 '마른 비만' 날씬해도 비만일 수 있다? 겉보기에 날씬하고 말랐어도 '비만'일 수 있습니다. 체지방률이 남성은 25%, 여성은 30% 이상일 경우, 체질량지수가 정상 범위여도 마른 비만으로 진단합니다. 가는 팔과 다리에 배만 볼록 튀어나온 것이 마른 비만의 특징인데, 복부에 몰려있는 지방은 당뇨,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을 유발합니다. BMI(체질량지수)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만 지표로 키와 몸무게를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25이상이면 비만입니다. 저체중은 19.9이하, 표준은 20-25, 과체중 : 25-29.9, 비만 : 30-40, 고도비만 : 40.1 이상(kg/m2). 배의 지방은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으로 나뉩니다. 피하지방은 말 그대로 피부 바로 ..

질병 건강정보 2023.11.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