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건강정보

페스트 원인 증상, 치료방법 예방접종

건강통통 2021. 7. 28. 12:20
반응형

페스트

페스트는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열성 인수공통 감염증입니다. 사람이 감염되는 예는 흔하지 않고 항생제로 치료 가능하지만, 페스트는 알려진 질환 중 가장 독성이 강하고 치명적인 세균 질환 중의 하나입니다. 전형적인 경우는 벼룩에 물림으로써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이며 감염된 동물의 조직과의 직접 접촉이나 공기 중 비말로 전염될 수는 있으나 매우 드뭅니다.

 

그 독성과 전파력으로 인해 특별한 대책을 필요로 하는 생물테러의 중요한 잠재물질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현재 법정 감염병 중 4군 감염병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신고 대상 및 방법

1.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2.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페스트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페스트가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3.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혈액, 가래, 기관지세척액, 림프절흡인물 등)에서 Y.pestis 분리 동정 
4. 신고시기 : 즉시 신고 
5. 신고 방법 : 신고서를 제출함과 동시에 관할 보건소장에게 유선으로 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질병관리본부로 신고하는 경우 긴급상황실(043-719-7979) 이용

 

역학 및 통계

Y. pestis는 호주와 남극을 제외한 전 대륙에 산재되어 있습니다.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의 야생 설치류와 벼룩 사이에 순환합니다. 사람과 비설치류 포유동물은 우연 숙주입니다. 사람-동물 간의 유행성 전파는 드물고 산발적입니다. 다양한 다람쥐, 야생개, 굴을 파고 사는 설치류들이 전세계의 시골 지역에서 주요 동물 간 유행성 숙주가 되고 있습니다.

 

 

Y. pestis는 야생 설치류로부터 시골 및 도시 쥐들에게 전파됩니다. 병원체는 매우 적응력이 강한 쥐와 벼룩에 의해 마을에서 도시로 옮겨질 수 있습니다. 최근 10여년간 WHO에 보고된 모든 페스트 증례는 아시아, 아프리카, 그리고 미주지역에서 발생하였습니다. 마지막 범유행이 아시아 지역에서 있었지만 지난 20년에 걸쳐 발생분포 지역이 아시아에서 아프리카로 바뀌고 있습니다. 

 

증상

1. 림프절형 페스트 

림프절형 페스트의 잠복기는 대개 2-6일입니다. 환자는 오한, 발열, 근육통, 관절통, 두통, 쇠약감을 느낍니다. 곧이어 24시간 이내에 페스트균이 접종된 부위의 근위부에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림프절에 압통과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벼룩이 대개 다리 부위를 물기 때문에 서혜부와 대퇴 림프절을 가장 흔하게 침범합니다. 림프절이 점점 커지면서 통증과 압통이 매우 심하게 나타나며 피부의 벼룩이 문 자리에 농포, 구진, 궤양 등이 관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패혈증형 페스트 

패혈증형 페스트는 패혈증으로만 발병합니다. 검사실의 혈액배양검사 중간보고에서 양성 보고가 나올 때까지 페스트를 의심하지 못하여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패혈증에 걸린 환자는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소화기계 증상을 흔히 보입니다. 

 

3. 폐렴형 페스트 

폐렴형 페스트는 가장 치명적인 형태의 페스트입니다. 갑자기 발병하는 경우가 흔하며 오한, 발열, 두통, 근육통, 쇠약감, 어지럼증과 흉통을 동반합니다. 기침, 호흡곤란, 객혈 등의 호흡기계 징후는 발병 2일 째 전형적으로 나타납니다. 

 

진단 및 검사

도말 검사와 배양을 위해 혈액을 채혈하고 서혜부 림프절염이 존재하는 경우 그 부위를 주사로 흡인하여 조직 검사로 진단합니다. 가래 배양 검사도 시행합니다.

 

예방 및 예방접종

알려진 페스트 유행지역으로의 여행을 피하고, 병에 걸리거나 죽은 동물과의 접촉을 피합니다. 그리고 설치류의 벼룩에 노출될 위험이 있으면 곤충 기피제, 살충제를 사용하거나 보호의복을 입고, 죽은 동물을 다루는 경우 장갑을 착용해야 합니다. 


폐렴형 페스트가 진단되었거나 의심되는 경우 비말격리를 시행해야 하고 접촉자의 경우 독시사이클린 또는 박트림 등의 항생제를 예방적으로 투여해야 합니다. 건물이나 식품 판매소에서는 설치류를 박멸하려는 노력을 지속해야 합니다.

 

치료

치료를 안 할 경우 페스트의 치사율은 50%가 넘습니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의심이 될 경우 배양을 시행하면서 즉시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초기 항생제 치료 시 림프절 페스트의 치사율은 5-10%로 감소될 수 있습니다. 스트렙토마이신이 일차선택약이고 젠타마이신도 유사한 효과를 보입니다. 


대체 약제는 테트라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입니다. 일반적으로 10일 동안 또는 해열되고 적어도 3일간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림프절염은 외과적으로 배액해야 합니다.

 

 

출처 : 질병관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