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로 알아보는 '패류독소 식중독' 궁금증
'패류독소'는 바다에 서식하는 유독성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는 패(조개)류의 체내에 축적되는 독소입니다.
최근 남해안에서 '패류독소'가 검출되는 등 패류독소 중독 위험이 있어 오는 6월까지 홍합, 백합, 바지락, 가리비 등 이매패류*와 멍게, 미더덕 등 피낭류에 대한 채취와 유통·섭취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일반적으로 조개(류)라고 하는 것들로, 좌우 2개의 단단한 껍데기(패각)로 구성된 연체동물 무리를 말합니다.
패류독소에 대한 궁금증을 Q&A로 알아봅니다.
Q. 패류독소(shellfish-poison, 貝類毒素)란?
A. 조개류에 축척되어 먹으면 식중독을 일으키는 독의 총칭으로, 유독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는 조개류(패류)의 체내에 독소가 축적되는데 조류 및 포유류(사람) 등 고등동물이 유독한 패류를 섭취하는 경우 중독을 일으킵니다.
패류독소에는 마비성패독(PSP), 설사성패독(DSP), 기억상실성패독(ASP), 신경성패독(NSP)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발생하는 마비성패독은 3월부터 남해안 일원을 중심으로 출현하여 해수 온도가 15-17℃일 때 최고치를 나타내다가 18℃ 이상으로 상승하는 6월 중순경부터는 자연 소멸됩니다.
Q. 패류독소 섭취 시 나타나는 증상은?
A. 마비성패독(PSP)은 섭취 후 30분 이내 입술 주위 마비에 이어 점차 얼굴, 목 주변으로 퍼지면서 두통, 메스꺼움, 구토 등을 수반하고, 심한 경우 근육마비, 호흡곤란으로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설사성패독(DSP)의 경우 무기력증과 메스꺼움, 설사, 구토, 복부 통증 등 소화기계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나 대부분은 일과성이며 치명적이지 않아 3일 정도 지난 후에는 회복됩니다.
Q. 패류독소로 인한 중독 예방 및 주의사항은?
A. 패류독소는 냉장, 동결 등의 저온에서 파괴되지 않을 뿐 아니라 가열, 조리해도 잘 파괴되지 않으므로 허용 기준 이상 패류독소가 검출된 ‘패류채취 금지해역’의 패류를 채취하거나 섭취해서는 안 됩니다.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 패류독소속보(스마트폰 앱) 등을 참고하여, 허용 기준치를 초과한 해역에서 자연산 패류를 채취하여 섭취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http://www.foodsafetykorea.go.kr/
www.foodsafetykorea.go.kr
패류 섭취 후 신경마비나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환자를 인근 병원이나 보건소로 이송하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질병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소아 재택치료법, 고열 구토 탈수 대처법 (0) | 2022.03.19 |
---|---|
심부 정맥 혈전증이란? 원인 증상, 치료 예방법 (0) | 2022.03.16 |
파킨슨병이란? 운동 음식 관리법, 장애등급 지원체계 (0) | 2022.03.11 |
왜 불안한 건가요? 불안증상 원인, 치료 완화방법 (0) | 2022.03.11 |
파킨슨병 종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제 합병증 (0) | 2022.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