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두분비
유두 분비는 유두를 누르거나 당길 때 또는 유방을 압박할 때 유두에서 유즙이 나오는 증상으로, 남녀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으나 남성에서는 흔하지 않습니다. 유두 분비는 유방과 관련된 문제로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들이 세 번째로 흔하게 호소하는 증상입니다. 유두 분비는 대부분 생리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치료가 필요한 질환으로 인한 증상일 수 있으므로 원인 질환의 감별이 필요합니다.
원인
유두 분비를 일으키는 원인은 크게 생리적인 요인, 약물 요인, 질환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생리적 요인
유듀 분비는 임신이나 출산 후 또는 수유 시 정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유 중단 후 1년까지도 유두 분비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정상입니다. 또한 호르몬 변화에 의해 유두 분비가 발생하기도 하며, 유두를 자극하거나 유방을 압박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두 분비를 유발하는 약물
우울증약을 포함한 정신과 약제(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이미프라민, 페노티아진, 부티로페논, 설필리드, 리스페리돈, 레세르핀 등), 소화기계 약제(메토클로프라미드, 돔페리돈, H2 수용체 길항제), 고혈압 약제(메틸도파, 칼슘 통로 차단제), 피임약, 호르몬제(에스트로겐,항안드로겐) 등의 약을 복용하는 환자에서도 유두 분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쐐기풀, 펜넬, 엉겅퀴, 아니스, 페뉴그릭 씨 등 허브로 만든 차나 건강식품을 복용하는 경우나 마약류(마리화나, 아편류)로 인해 유두 분비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유두 분비의 원인 질환
임신, 출산과 관계 없이 유즙이 분비된다면, 유즙 분비를 촉진하는 뇌하수체 호르몬(프로락틴)이 과다 생성, 분비되는 질환을 의심해야 합니다. 프로락틴 선종, 뇌하수체 선종 등의 뇌종양에 의해 프로락틴이 과다 생성, 분비될 수 있습니다. 신장 기능 이상이 지속되는 만성 신부전, 갑상선 기능 저하증, 쿠싱 증후군, 간경화 등의 전신 질환에 의해서도 혈중 프로락틴 농도가 높아져 유두 분비가 생길 수 있습니다.
유방 내 질환 중의 흔한 원인은 관내 유두종, 유선관 확장, 유방암, 감염 순입니다. 관내 유두종은 유방 내 양성종양으로 피가 함께 묻어 나옵니다. 유관 감염으로 인해 고름 섞인 분비물이 유두로 배출되는 유선염은 수유 중에 자주 발생합니다.
진단 및 검사
유두 분비의 원인이 생리적 요인인지 병적 요인인지를 먼저 감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신 및 출산력, 복용 중인 약제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문진이 중요합니다. 유두 분비가 양쪽인지 한쪽인지 여부와 혈액이 섞인 붉은 색인지, 종괴가 함께 만져지는지, 유방에 비정상적인 피부병변이 있는지, 동반된 림프절 비대가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전신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호르몬 수치 검사를 포함한 혈액검사 및 유방촬영, 유방초음파 검사를 시행합니다. 유방촬영 및 유방초음파를 통해 유방 내 종괴가 발견되는 경우, 필요 시 조직 생검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의사의 판단에 따라 유두 분비물을 채취하여 염증이나 암세포의 유무를 검사할 수도 있습니다.
연관 증상
유두 분비물은 양쪽 유두에서 나올 수 있고, 한쪽 유두에서만 나올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 유두를 자극하거나 유방을 압박하는 경우에 발생하나, 유두 자극과 관계없이 나올 수 있습니다. 유두 분비물의 색깔은 맑은 물처럼 투명하거나 황색, 피가 섞인 붉은색, 녹색, 검푸른 색 등 다양합니다. 농도도 짙거나 옅거나 맑거나 탁하게 다양합니다. 따라서 유두 분비물의 성질과 상태(성상)만으로 정확한 원인을 감별하기는 어렵습니다.
유두 분비는 대부분 생리적이거나 양성질환으로 인해 발생하지만, 반드시 유방암의 감별이 필요하므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진료가 필요합니다.
- 종괴가 함께 만져집니다.
- 유두 분비물이 한쪽 유방에서만 나옵니다.
- 유두 분비물이 혈성의 붉은 색을 띱니다.
- 유두를 자극하지 않아도 유두 분비물이 나옵니다.
치료
유두 분비의 치료는 유두 분비를 일으키는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약물로 인해 유두 분비가 발생한 경우, 원인이 되는 허브차나 건강식품을 중단하고, 원인이 되는 약물이 치료 약물일 때에는 담당 주치의와 상의하여 약물을 변경하거나 지속적인 복용이 필요하지 않은 약물은 중단합니다.
- 호르몬 변화나 유두 자극으로 인해 유두 분비가 발생한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뇌하수체 종양으로 인해 유즙분비 호르몬이 과다하게 생성되는 경우에는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 유관 감염에 의한 유선염은 항생제로 치료하고, 재발이 잦은 경우에는 감염된 유관을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 관내 유두종과 같은 유방 내 양성 종양으로 인한 혈성 분비물은 유관절제 수술을 통해 치료합니다.
치료 - 약물 치료
유두 분비의 약물 치료로는 유즙분비 호르몬(프로락틴)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인 브로모크립틴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치료 - 비약물 치료
유방 자극이나 압박으로 인해 유두 분비가 발생한 경우에는 꽉 조이는 브래지어나 몸에 딱 붙는 상의를 착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자주하는 질문
남자에서 유두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 검사가 필요한가요?
유두 분비는 남녀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으나 남자에게 흔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남자의 경우에도 유두 분비의 원인을 감별하기 위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유두 분비물 검사 결과에 이상이 없어도 유방암일 수 있나요?
유두 분비물 검사는 유두 분비물에 암세포가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하지만 유방 조직 내에 암세포가 있더라도 유두 분비물에 암세포가 분비되어 나오지 않는다면, 검사에서 확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두 분비물 검사만으로 유방암을 배제할 수 없으며, 추가적인 진찰과 혈액검사 및 유방의 영상학적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피임약 복용 중 유두에서 분비물이 나오면 피임에 실패한 건가요?
피임약에 의한 호르몬 변화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유두 분비물이 나올 수 있으며, 임신으로 인한 유두 분비는 아닐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임약 복용 중 유두 분비가 있다고 해서 피임에 실패한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질병관리청
'질병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염 원인 증상, 위내시경 검사 치료방법 (0) | 2021.09.07 |
---|---|
유행각결막염 원인 증상, 치료 예방법 (0) | 2021.09.07 |
소아 대변이상 설사 원인 치료, 녹변 원인 장염 예방법 (0) | 2021.09.07 |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원인 증상, 예방법 (0) | 2021.09.07 |
코로나19 백신종류 접종 전 주의사항, 접종 후 관리법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