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건강정보

부모님이 심근경색증이라면 나도? 심뇌혈관계 위험인자

건강통통 2023. 2. 2. 14:58
반응형

부모님이 심근경색증이라면 나도?

"심뇌혈관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흡연 등 교정 가능한 위험인자를
적절하고 꾸준하게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등의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 등의 뇌혈관질환은 주요 심뇌혈관계 합병증입니다. 이런 합병증은 증상이 없더라도 심뇌혈관계 위험인자가 많고 오래될수록(10년이상) 발생할 위험이 높아집니다. 그렇다면 '심뇌혈관계 위험인자'는 무엇일까요?

 

 

심뇌혈관계 위험인자, 위험인자가 뭔가요?

심뇌혈관 위험인자는 크게 성별, 나이, 가족력 등 교정 불가능 위험인자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흡연 등 적절한 치료나 관리가 가능한 교정 가능 위험인자로 분류합니다. 위험인자 중에서 10년후 각 종 심뇌혈관계 합병증 생길 확률을 평가해 볼 수 있는 인자를 '주요 심뇌혈관계 위험인자'라고 합니다.


다른 위험인자인 스트레스, 운동 부족 등도 각종 심뇌혈관계 합병증 위험을 높일 수 있지만, 10년 후 나의 심뇌혈관 합병증 발생 위험을 평가하기 위한 위험인자 개수에는 주요 위험인자 여부를 따지게 됩니다. 통상적으로 중년에서 '주요 심뇌혈관계 위험인자'가 1개도 없는 경우라면 10년 후 각종 심뇌혈관계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은 5% 미만이지만, 3개 이상인 경우에는 15-20% 이상으로 3-4배 위험이 높아집니다.


주요 심뇌혈관계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특히 교정 가능한 위험인자를 적절하고 꾸준하게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나"는, "우리 가족"은 심뇌혈관계 주요 위험인자가 몇 개가 있는지 한 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내 심뇌혈관계 위험인자 개수 알아보기

<교정 불가능한 위험인자>
1) 연령 : 남자 만 45세 이상, 여자 만 55세 이상
* 만 65세 이상인 경우 위험인자 2개로 계산


2) 조기 관상동맥질환 가족력이 있는 경우 : 
부모, 자식, 형제 중 남자 만 55세 미만, 
여자 만 65세 미만의 나이에 발병이 있는 경우

<교정 가능한 위험인자>
3) 흡연 : 현재 흡연자 혹은 과거 흡연자 중 금연 5년 이내
*금연한 지 10년 이상인 경우 비흡연으로 간주

4) 비만 : 체질량지수(BMI) 25kg/m2 이상 또는
5) 복부비만 : 복부둘레 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 이상


6) 당뇨병 : 공복혈당 126mg/dL이상, 당화혈색소 6.5% 이상,
또는 경구 당부하 검사 2시간 혈당 200mg/dL 이상

7) 당뇨병전단계 : 공복혈당장애(공복혈당 100mg/dL 이상, 136mg/dL 미만) 또는 내당능 장애

8) 고혈압 : 혈압 140/90 mmHg 이상 또는 항고혈압제 복용 중

9) 이상 지질혈증 : 총 콜레스테롤 220 mg/dL 이상,
LDL 콜레스테롤 150mg/dL 이상,
HDL 콜레스테롤 40 mg/dL 미만,
중성지방 200mg/dL 이상인 경우 한가지라도 해당할 때

* HDL 콜레스테롤 60mg/dL 이상인 경우 위험인자 1개 제거

 

중년에서 10년 후 심뇌혈관 합병증 가능성

- 1개도 없는 경우 :  5%미만 최저위험군입니다. 지금처럼 꾸준히 관리하세요

- 1-2개인 경우 : 5-15% 중간위험군

- 3개 이상인 경우 :  15%이상 고위험군입니다. 

관리가 가능한 위험인자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일차예방과 이차예방

고혈압이랑 심근경색이랑 뭐가 다른가요?

"일차예방은 고혈압이나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위험인자가 있을 때
운동, 식이요법, 약제의 사용 등으로 심뇌혈관질병환 발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반면, 이차예방은 심뇌혈관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여 
합병증과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약제를 사용하는 치료입니다."


심뇌혈관계에는 고혈압, 당뇨병, 심근경색증, 뇌졸중(중풍) 등 여러 가지 질환이 있습니다. 모두 같은 진단명이지만, 고혈압/이상지질혈증/당뇨병, 그리고 협심증/심근경색증/뇌졸중은 의미가 다릅니다. 

 

 

고혈압이나 이상지질혈증 등은 앞서 심뇌혈관계 위험인자라고 분류했듯이 혈압이나 지질 수치가 높더라도 특별한 증상이 없거나 증상을 알아차리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오랫동안 방치하면 일종의 심뇌혈관계 합병증인 협심증,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무 증상이 없어도 고혈압이 오래되면 각 종 심각한 심뇌혈관계 합병증이 생겨 심한 경우 사망할 수도 있기 때문에, 고혈압을 "침묵의 살인자"라 말하기도 합니다.


일차예방은 고혈압이나 이상지질혈증 등 위험인자가 있을 때 운동, 식이요법, 약제 사용 등의 관리를 하면서,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미리 예방하는 것입니다. 반면, 이차예방은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여 합병증과 후유증을 최소화 하기 위해 같은 약을 사용하는 치료입니다.

 

젊은 나이는 심뇌혈관질환이 왜 안 생기죠?

"30대 이상부터 심뇌혈관계 질환 위험이 증가하기 시작하므로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에 대하여 20-30대 젊은 나이부터
꾸준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령의 증가는 교정이 불가능한 위험인자입니다. 30대 이상 성인부터 심뇌혈관계질환 위험이 증가하기 시작합니다.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이 생긴지 10여년이 지나면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각종 심뇌혈관계 합병증도 증가합니다. 또한 고혈압/이상지질혈증 및 협심증/심근경색증/뇌졸중 등의 모든 심뇌혈관계질환은 남녀 모두 40대 이상부터 급격히 증가하게 됩니다. 30대에서 심뇌혈관계 질환의 유병률이 10% 정도이지만, 40대에선 약 20%, 50대에선 약 40%, 그리고 60대 이상에서는 50% 이상에서 각 종 심뇌혈관계질환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정이 가능한 위험인자인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을 20-30대 젊은 나이부터 적절한 수준으로 꾸준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흡연을 한다면 금연하고, 비만이나 운동부족인 경우 체중조절이나 적절한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아버님이나 어머님이 40-50대의 젊은 나이에 관상동맥질환을 앓은 것처럼 교정이 불가능한 주요 심뇌혈관계 위험인자가 있다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깊은 관심을 들여 본인의 혈압이나 콜레스테롤 수치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위험인자 개수에 따른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치료 목표

"같은 수치의 혈압이나 콜레스테롤 수치라도, 가지고 있는 위험인자 개수에 따라서,
어떤 사람은 바로 고혈압 약제와 이상지질혈증 약제 2가지를 먹는 것이 필요하고,
다른 사람은 약제 사용 없이 운동과 식이요법만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홍길동"과 "임꺽정"은 42세 고등학교 동창입니다. 건강검진에서 측정한 혈압이 평균 144/92 로 같다면, 치료도 똑같이 할까요?

▶ 홍길동: 현재 담배를 피움, 아버지가 50세에 심근경색증으로 스텐트 치료를 받으신 적이 있음, 총콜레스테롤 수치 250 mg/dL.
▶ 임꺽정: 담배를 피우지 않음, 부모님 모두 건강, 총콜레스테롤 수치 180 mg/dL.


혈압 수치는 140/90이상으로 둘 다 고혈압이지만, "홍길동"의 경우 조기 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흡연/총콜레스테롤 220 mg/dL이상으로 고혈압 이외에 총 3가지 이상의 심뇌혈관계 위험인자가 있기 때문에, 향후 10년안에 각종 심뇌혈관계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15% 이상인 고위험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혈압은 적극적인 약물치료로 130/80보다 낮게 조절하고 관리해야 하며, 콜레스테롤도 자세한 검사를 한 후 LDL 콜레스테롤을 최소한 130 mg/dL 아래로 조절하기 위해 이상지질혈증 약제 복용을 바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운동과 식이요법을 반드시 동반해야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반면, "임꺽정"의 경우 혈압이 높다는 것 이외에 위험인자가 없으므로, 향후 10년안에 심뇌혈관계 합병증 발생위험이 5% 미만인 최저위험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고혈압은 140/90보다 낮게 유지하면 되므로, 처음 3-6개월간은 고혈압 약제 사용 없이 운동과 식이요법을 먼저 시작해 볼 수 있습니다. 이후에도 140/90아래로 조절이 되지 않는다면, 그 때 약제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만, 144/92에서 140/90아래로 조절하는 것은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비교적 쉽게 달성할 수 있는 목표입니다. 주요 위험인자가 고혈압 1 가지만 있으므로 콜레스테롤도 LDL 콜레스테롤을 160 mg/dL 이하로만 조절하면 되므로 약제 사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같은144/92의 고혈압이라도, 가지고 있는 위험인자 개수에 따라서, 어떤 사람은 바로 고혈압 약제와 이상지질혈증 약제 2가지를 먹는 것이 필요하고, 다른 사람은 약제 사용 없이 운동과 식이요법만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나는 심뇌혈관 위험인자가 몇 개가 있을까요?

"담배를 피운다면 금연하고,
꾸준한 운동과 식이요법을 통해 체중을 관리하는 등
20-30대부터 좋은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혈압이나 이상지질혈증은 흡연이나 운동부족, 비만과 같은 위험인자에 해당합니다. 같은 고혈압이나 이상지질혈증 수치라도 동반된 심뇌혈관계 위험인자 개수에 따라, 10년 후 심근경색증/뇌졸중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5% 미만의 최저위험군부터 15% 이상인 고위험군까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40대 미만의 젊은 나이에서는 여러 가지 위험인자가 있더라도 각 종 심뇌혈관계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담배를 피운다면 조금이라도 빨리 금연하고, 꾸준한 운동과 식이요법을 통해 체중을 관리하는 등 20-30대부터 좋은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내가 이미 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처럼 교정할 수 없는 위험인자가 있다면, 아직 고혈압도 아니고(140/90 이하), 콜레스테롤 수치도 정상일지라도 꾸준한 운동과 식이요법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바로 "내가 가지고 있는 위험인자는 몇가지일까?"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health.kdca.g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