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건강정보

반월상 연골판 손상 원인 증상, 치료방법 합병증

건강통통 2021. 8. 6. 22:48
반응형

반월상 연골판 손상

반월상 연골판의 구조

반월상 연골판은 대퇴골(넓적다리뼈)과 경골(정강뼈) 사이에 위치하는 조직으로 체중을 전달하고,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을 안정시키며, 관절 연골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월상 연골판은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판으로 이루어집니다. 내측 연골판은 외측보다 반경이 큰 C자 모양으로 되어 있고, 외측에 비해 외부 힘에 의해 다치기 쉽습니다. 외측 연골판은 내측보다 크기가 작고 모양이 원형에 가까우며, 내측에 비해 유동성이 있습니다.

 


역학 및 통계

반월상 연골판 손상으로 인해 수술을 받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20-40대에서는 주로 스포츠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며, 50대 이상에서는 주로 퇴행성 파열로 발생하는 등 다양한 연령에서 여러 형태로 반월상 연골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포츠 손상은 운동 중 갑작스러운 회전력 등에 의한 충격으로 찢어지는 경우가 많으나, 퇴행성 파열은 외상의 병력이 없이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

증상으로는 무릎의 통증, 부종(붓는 증상), 포획(무릎에서 걸리는 느낌) 및 잠김(무릎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무릎의 무력감이나 관절면(뼈와 뼈가 서로 접하는 면)의 압통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및 검사

반월상 연골판 손상은 병력 확인, 신체 검사, 자기 공명 영상(MRI)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자기 공명 영상은 정확도가 95% 이상이나, 비용이 비싸고 파열로 잘못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검사 전에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관절경은 연골판 파열을 가장 정확하게 진단하고 동시에 치료도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치료

반월상 연골판 손상 후 치료 방법은 파열의 정도, 위치 및 범위, 환자의 증상 정도, 특징 및 지속 기간, 이전 치료의 유무와 경과 등을 고려하여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로 결정하게 됩니다. 파열 부위의 지속적인 통증과 걸림 증상이 있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반월상 연골판 손상의 수술적 치료로는 연골판 절제술 및 봉합술이 있으며, 두 가지 방법 모두 관절경으로 시행합니다.


절제술은 파열된 연골판의 경계를 부드럽게 다듬어 주고 추가적인 파열을 막는 방법으로 절제 범위에 따라 부분 절제술, 아전 절제술, 전 절제술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봉합술은 찢어진 연골판을 봉합실로 봉합해 주는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는 경우가 절제술에 비해 더 제한되어 있습니다. 봉합술은 원래의 연골판을 보존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술 후 보호 및 재활이 절제술에 비해 더 조심스럽고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파열의 모양, 위치, 환자의 나이, 급성 또는 만성의 정도 등에 따라 수술의 종류를 결정하게 되나, 수술 중 관절경 소견에 따라 수술의 종류와 수술 후 관리가 결정되기도 합니다.

 

합병증

반월상 연골판 수술 후 일어날 수 있는 합병증에는 연골판 봉합 후 치유가 되지 않는 경우, 연골판의 재파열, 신경 및 혈관 손상, 무릎 관절에 혈액이 차는 혈관절증, 감염, 관절 안 구조물에 대한 수술 과정에서의 손상, 골 괴사, 퇴행성 관절염 등이 있습니다.

 

기타

원판형 연골판

원판형 연골판은 반월상 연골판의 특수한 형태로 연골판이 넓고 두꺼우며 O자형인 경우를 말합니다. 주로 외측 연골판에서 나타나며, 서양인(3-5%) 보다는 동양인(10-15%)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국내에서는 연골판 양측에서 원판형 연골판이 발생하는 비율이 90%에 이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원판형 연골판 손상 증상은 소아나 청소년 때부터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을 일으키는 파열된 원판형 연골판은 관절경을 이용하여 부분절제술과 봉합술로 치료합니다. 그러나 증상이 없고 MRI 검사로 발견된 원판형 연골판에 대해서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출처 : 질병관리청

반응형